-
목차
로저스의 내담자중심 상담이 직업상담에 주는 의미
직업상담이라고 하면 대개 이력서, 면접, 진로 테스트, 정보 제공 등 기술적 접근이 떠오르곤 합니다. 하지만 내담자의 심리적 불안, 자존감 저하, 방향 상실 등의 정서적 문제가 상담의 핵심이 되는 경우, 로저스의 내담자중심 상담은 가장 강력한 회복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로저스는 다음 세 가지 조건을 상담자가 갖출 때, 내담자에게 치유적 변화가 일어난다고 보았습니다.
- 진실성 (일치성, Congruence)
-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 정확한 공감적 이해 (Empathic Understanding)
직업상담 사례(내담자중심 상담 기법 적용)
✅내담자 정보
- 이름: 지연(가명)
- 나이: 26세
- 상담 신청 이유: “무슨 일을 하고 싶은지도 모르겠고, 하고 싶은 게 있어도 내가 할 수 있을까 두렵기만 해요.”
- 상황: 4년제 대학 졸업 후 1년간 휴식기. 반복적인 취업 실패와 자책 속에서 자기 신뢰 상실 상태. 부모와도 직업 문제로 갈등이 잦음.
✅ 상담 과정의 전개
🧩 1단계 – 신뢰 형성: “그대로의 나를 받아주는 경험”
상담자는 조언이나 판단 없이 지연의 말에 진심으로 귀 기울이고 반응합니다. 지연은 “상담 선생님은 제가 멍하니 말 없이 있어도 불편해하지 않으시네요”라고 말하며 처음으로 자기 이야기를 꺼낼 수 있는 공간이라 느꼈습니다.
상담자: “지금은 방향보다, 잠깐 숨을 고르고 싶은 마음이신가요?”
🧩 2단계 – 감정 수용: “나는 무가치한 존재 같아요”
지연은 취업 실패를 반복한 자신을 “쓸모없는 사람”, “다른 사람보다 한참 뒤처진 존재”라고 표현합니다.
상담자는 이 감정을 바로 고치려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합니다.상담자: “실패가 반복될수록, 더 말도 못 꺼내게 되죠. 그런 느낌, 너무 지치는 거 알아요.”
상담자는 지연이 스스로 감정을 탐색하고 정리하도록 감정 반영, 명료화, 공감으로 반응합니다.
지연은 점차 “내가 왜 이런 감정을 느끼는지”를 스스로 인식하기 시작합니다.
🧩 3단계 – 자기 인식과 통찰: “난 도전이 무서운 사람이었어요”
지연은 “나는 원래 도전적인 성격이 아니야”라고 말하다, 상담 중 한 가지 기억을 꺼냅니다.
지연: “중학생 때 그림 대회에 나갔다가 상 못 받았거든요. 그 뒤로 뭔가 시도하는 게 너무 무서워요.”
상담자는 평가 없이, 지연이 과거의 경험을 현재에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비춰줍니다.
이 과정을 통해 지연은 “나는 원래 못하는 사람이야”라는 자기 개념이 학창시절 실패 경험에서 형성되었음을 자각하게 됩니다.
🧩 4단계 – 자기 수용과 변화의 시작
지연은 점차 자신의 감정, 두려움, 실패 경험을 스스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말합니다.
지연: “내가 부족한 게 아니라, 그 실패를 너무 오래 안고 있었던 것 같아요.”
“천천히라도, 한 번 다시 시작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상담자는 조언하지 않으면서도 지연의 변화 욕구를 존중하고 지지합니다.
이 과정에서 지연은 처음으로 스스로 작은 목표를 설정합니다.
→ “이번 주에 관심 있는 직업 박람회 한 곳만 다녀오기”
✅상담자의 태도와 개입 요약
상담자의 반응 설명 적극적 경청 말뿐 아니라 내담자의 표정, 톤, 맥락까지 진심으로 귀 기울임 감정 반영 “불안하시군요.” “두려운 마음이 크셨겠어요.” 공감적 이해 “취업 얘기만 나와도 가슴이 철렁하시겠네요.” 판단 유보 해결책 제시 없이 내담자의 자율성 존중 성장에 대한 신뢰 “지금은 준비하는 중이시겠죠. 변화는 시작되고 있어요.”
✅상담 변화 결과
- 반복 실패로 인한 자기비하 → 실패도 내 경험의 일부로 인정함
- 방향 상실과 동기 저하 → “하고 싶은 일”이 떠오르기 시작
- 부모의 기대와의 갈등 → 스스로의 선택에 집중할 수 있게 됨
- 외부 의존적 태도 → 자기 결정에 대한 책임감과 신뢰 회복
마무리
로저스의 내담자중심 상담은 “무엇을 해야 할까”보다는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탐색에서 출발합니다.
직업상담이라고 해서 늘 정보나 스펙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어떤 내담자에게는 그보다 먼저 자신을 수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심리적 공간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공간이 마련될 때, 내담자는 “잘 살아야 한다”는 의무에서 벗어나, “나답게 살 수 있는 길을 찾는 주체적 존재”로 변화합니다.
'직업상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존주의 상담 (0) 2025.04.01 직업상담 사례로 배우는 펄스의 형태주의 상담 (0) 2025.03.31 직업상담 사례로 배우는 행동주의 상담 (0) 2025.03.31 사례로 배우는 아들러의 개인주의 상담 (0) 2025.03.31 펄스(Fritz Perls)의 형태주의 상담 (0) 2025.03.30